
8살은 아이가 스스로의 감정을 인식하고 타인과 소통하는 능력을 기르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하지만 감정 표현이 부족한 아이들은 이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기도 합니다. 놀이를 통해 아이와 신뢰를 쌓고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돕는 것은 매우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이 글에서는 감정 표현 부족 아이를 위한 하루하루의 놀이 계획을 세워, 자연스럽게 감정 표현을 연습하도록 돕는 전략을 제시합니다.

감정 카드를 활용한 이야기 놀이
감정 카드란 무엇인가요?
감정 카드는 기쁨, 슬픔, 화남, 두려움 등의 다양한 감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카드입니다. 이를 활용하면 아이가 감정을 구체적으로 인지하고 표현하는 연습을 할 수 있습니다.
놀이 방법
- 준비물: 감정 카드와 간단한 이야기 도구(인형, 블록 등).
- 활동:
- 감정 카드를 섞은 후, 아이가 카드를 한 장씩 뽑도록 합니다.
- 뽑은 카드의 감정을 기반으로 짧은 이야기를 만들어 보세요.
- 예: "슬픈 얼굴 카드"를 뽑았다면, "이 친구는 왜 슬플까?"라고 물어보며 이야기를 이어갑니다.
기대 효과
- 아이가 감정을 정의하고 언어로 표현하는 연습을 하게 됩니다.
- 부모와의 대화를 통해 감정에 대한 이해도를 높입니다.

역할 놀이로 상황 속 감정 표현하기
왜 역할 놀이가 중요한가요?
역할 놀이는 아이가 특정 상황을 상상하며 감정을 표현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는 타인의 입장에서 감정을 이해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도 효과적입니다.
놀이 방법
- 주제 선택: 학교에서 친구와의 대화, 가족 간 갈등 등 아이가 경험할 수 있는 상황을 선택합니다.
- 역할 분배: 아이와 부모가 각각 역할을 맡아 대화를 시작합니다.
- 표현 연습: "그 상황에서는 어떤 기분이 들었어?"라는 질문을 통해 아이가 감정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도록 유도합니다.
기대 효과
- 아이가 감정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연습을 할 수 있습니다.
- 갈등 상황에서도 차분히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감정 일기 쓰기와 공유 시간
감정 일기를 쓰는 법
하루 동안 느꼈던 감정을 그림이나 간단한 문장으로 표현하게 하는 활동입니다. 감정 일기는 아이의 감정을 기록하는 습관을 기르게 합니다.
놀이 방법
- 준비물: 일기장 또는 그림 도구.
- 활동:
- 아이에게 오늘 하루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을 생각해보도록 합니다.
- 그 일이 자신에게 어떤 감정을 느끼게 했는지 그림이나 글로 표현하게 합니다.
- 공유 시간: 아이가 원한다면 부모와 일기를 공유하며 감정을 이야기합니다.
기대 효과
- 아이의 자기 성찰 능력을 키웁니다.
- 감정을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안전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미술 놀이로 감정 표현 연습하기
미술 놀이의 장점
미술 활동은 아이가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감정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놀이 방법
- 준비물: 크레파스, 색연필, 물감 등 다양한 미술 도구.
- 활동:
- "오늘 느꼈던 감정을 색으로 표현해보자"라고 제안합니다.
- 아이가 그림을 완성한 후, 그 그림에 대해 함께 이야기합니다.
- "빨간색을 많이 사용했네. 이건 어떤 기분이었을까?"라는 식으로 대화를 이어갑니다.
기대 효과
- 아이가 감정을 색과 이미지로 구체화하는 능력을 기릅니다.
- 창의성을 발달시키면서 감정 표현 연습도 병행할 수 있습니다.

음악을 통한 감정 해소 놀이
음악의 힘
음악은 감정을 자연스럽게 풀어내고 표현하는 데 탁월한 도구입니다. 아이가 음악에 맞춰 감정을 몸짓으로 표현하는 과정은 매우 유익합니다.
놀이 방법
- 음악 선택: 다양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음악을 준비합니다(밝은 음악, 잔잔한 음악, 빠른 리듬 등).
- 활동:
- 음악을 들으며 춤을 추거나 그림을 그리게 합니다.
- 음악이 아이에게 어떤 기분을 느끼게 했는지 물어봅니다.
- 아이가 특정 감정에 맞는 음악을 직접 고르게 하여 선택권을 줍니다.
기대 효과
- 아이가 감정을 다양한 형태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스트레스를 줄이고 심리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자연 속에서 감정 표현 훈련
자연과 감정 표현의 연결
자연 속에서의 활동은 아이가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히고 감정을 보다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놀이 방법
- 활동 선택: 산책, 나무 관찰, 꽃 심기 등 간단한 자연 활동을 계획합니다.
- 감정 대화: 자연에서 느낀 감정을 이야기하게 합니다.
- "이 나무를 보니 어떤 기분이 드니?" 같은 질문을 통해 아이의 감정을 유도합니다.
- 자유 표현: 아이가 자연 속에서 자유롭게 놀며 느낀 점을 그림이나 말로 표현하게 합니다.
기대 효과
- 아이가 안정된 환경에서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자연 속 경험을 통해 정서적 회복력을 키웁니다.
결론
8살 아이가 감정 표현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다면, 다양한 놀이 활동을 통해 이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위의 활동들은 아이의 감정을 표현하는 능력을 키우는 동시에 부모와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매일 조금씩 실천하며, 아이가 자신만의 감정 표현 방식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Q&A
Q1: 놀이를 매일 반복해도 질리지 않을까요?
다양한 놀이 방법을 순환하며 적용하면 지루함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놀이를 통해 얻는 성취감은 아이의 흥미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Q2: 감정 표현이 전혀 없는 아이에게는 어떻게 접근하나요?
가벼운 놀이부터 시작해 아이가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하세요. 감정 카드를 사용하거나 음악 듣기 같은 단순한 활동으로 시작하면 좋습니다.

*** 불펌 무단복제 이미지 캡쳐를 금지합니다 ***